4차 산업혁명 시대 학부모의 자녀 진로고민 해결한다담당부서 교육부 진로교육정책과 담당과장 송은주 (044-203-6993)담당자 사무관 조영석 (044-203-7037)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전문연구원 김민경 (044-415-5253)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원장 이용순)은 9월 20일(수), 서울에서 학부모 6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부모와 함께하는 진로레시피* 오픈 콘서트를 개최한다. * 가정,일터 어디서나 하던 일을 하면서 PC나 휴대폰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오디오 형태로 제작된 학부모용 진로정보 콘텐츠 o 이 콘서트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녀의 진로지도에 관심이 많은 학부모들이 전문가를 직접 만날 수 있도록 마련된 자리다. o 학부모들은 창업 기업가 및 교육 컨설팅 전문가로부터 기업가 정신,적성,진로에 대한 강연을 듣고 질문하면서 자녀의 진로고민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다. 구 분 초빙 전문가 강연 주제 창업 기업가 장영화 OEC 대표 o급변하는 시대 부모도 변하자 교육 컨설팅 전문가 강지원프루메재단이사장 o적성을 찾으면 길이 보인다 박재원 아름다운배움 행복한교육연구소장 o내 아이 진로고민에 답하다 □ ‘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응시원서 접수 결과담당부서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수능운영부장 박창희,담당 임혜균02-3704-39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2017. 11. 16.(목)에 실시되는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응시원서 접수 결과를 다음과 같이 발표하였다.□접수 및 변경 기간: 2017. 8. 24.(목)~9. 8.(금) 토요일 및 공휴일 제외 □접수 장소:시험지구 교육청(85개)및 학교 □지원자 현황 o자격별,성별 (단위:명) 학년도 합 계 자 격 별 성 별 재학생 졸업생 검정고시 등 남 여 2018 593,527 (100%) 444,874 (74.9%) 137,532 (23.2%) 11,121 (1.9%) 303,620 (51.2%) 289,907 (48.8%) 2017 605,987 (100%) 459,342 (75.8%) 135,120 (22.3%) 11,525 (1.9%) 310,451 (51.2%) 295,536 (48.8%) 증 감 △12,460 △14,468 2,412 △404 △6,831 △5,629 o선택 영역별 (단위:명) 구분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과학/직업탐구 제2외국어 /한문 가형 나형 사탐 과탐 직탐 선택 591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 밝힌다!담당부서교육부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 담당과장 최승복(044-203-7070)담당자 서기관 김아영(044-203-7039)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6일,다년간 사회적 논란이되어온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과정의진상을 조사하고재발 방지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진상조사팀을 설치?운영한다고 밝혔다. o이번에 출범하는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와 진상조사팀은부총리 직속으로설치하여공정하고 객관적인 진상 조사를 추진하게 된다. □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는조사 결과의신뢰성을 높이기 위해다양한 배경의 위원들로 구성되며,특히 교육계와 사학계뿐만아니라,일반국민의다양한 의견과시각을충분히 반영할 수 있도록구성할 계획이다. o위원회는역사학자,역사교사,시민사회,법조인,회계사,역사관련정부 기관 및 공공기관 등의 주요인사15인 내외로 구성된다. o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위원회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①역사교과서 국정화 진상조사팀의주요 조사 과제 제시 -역사교과서 국정화 정책 결정 및 집행 과정의 절차적?실질적 위법?부당행위 여부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 예산 편성?집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자료문의] 대입제도과 정성훈 사무관(044-203-6367), 안희성 연구사(044-203-6366)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9월 6일(수)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기본계획'을 발표하였다. ㅇ 2020학년도 수능은 현재 고교 1학년 학생들이 2019년에 응시할 시험으로 시험체제는 현행 수능과 동일하다. □ 2020학년도 수능은 2019년 11월 14일(목)에 시행되며, 성적은 2019년 12월 4일(수)에 통보된다. □ 2020학년도 수능 시행기본계획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36조에 따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19년 3월에 공고할 예정이다. http://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201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503opType=N
‘2020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 기본사항’발표담당부서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02-364-1521,입학지원실장 오병진,입학지원실팀장 이명주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회장 이기우 인천재능대학교 총장)는2017년9월4일(월) ‘2020학년도 전문대학 입학전형 기본사항’을발표하였다.2020학년도 기본사항은정부정책과 연계한‘입학전형 간소화 방안’을대폭추진함으로써 수험생.학부모의 입시부담을 완화하고공교육을활성화하는데 기여하며,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서 전문대학특성에맞는 입학전형확대와직업교육 진흥에 부응할 수 있는 입시제도 운영등전문대학이능력중심사회 실현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방향으로수립되었다. 직업 전망과 학과 경쟁력을 기준으로 전문대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을선발하기 위해전문대학의2020학년도 수시모집인원 비중을 확대하고,전문대학의사회적 책무성 제고와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사회·지역배려자 등을 대상으로 한‘고른 기회 입학전형’을2020학년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하도록 할 계획이다.이번 기본사항은 전국 입학관리자 회의를 비롯하여 고등학교교사및교육청 관계 장학사와의 자문회의에 이어서 전문대학 총장,학부모대표,시.도교육청교육감,고교교장등으로 구성된‘전문대학입학전형위원회’(위원장 강
수능 개편, 1년 유예하기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2017.8.31.(목) 10:30, 정부서울청사에서 수능 개편을 1년 유예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교육부는 대입 3년 예고제에 따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현재 중3 학생들이 응시할 2021학년도 수능 개편을 2016년 3월부터 추진해 왔으며, ㅇ 지난 8월 10일에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을 발표하고, 총 4차례의 권역별 공청회 등을 통해 여론을 수렴하였다. □ 여론수렴 과정에서 고교 교육 정상화 등 문재인 정부의 교육철학을 반영한 종합적 교육개혁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과 대입정책을 미래지향적으로 만들어 달라는 요청이 많았고, ㅇ 수능 개편안만 발표하기보다는, 학생부종합전형을 포함한 종합적인 대입전형 개편방향을 함께 발표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ㅇ 또한 절대평가 범위 등 수능 개편방향에 대한 교육주체 간 이견이 크고, 사회적 합의가 충분하지 않았음도 확인되었다. ㅇ 따라서, 짧은 기간 내에 양자택일식의 선택을 강요하기보다는 충분한 소통과 공론화 과정을 통해 합리적 대안을 마련하여야 한다는 지적과 우려가 많았다.
검정고시 출신자, 2018학년도 대입전형에 학력증명 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 담당부서 교육부 학생복지정책과 담당과장 유정기 (044-203-6526)담당자 교육연구관 김영은 (044-203-6523)교육연구사 김서연 (044-203-6522)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2018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원서 접수에 필요한 검정고시 자료를 온라인 신청을 받아 대학에 제공하는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서비스를 실시한다. □ 이 서비스는 검정고시 출신 수험생이 자신의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합격증명서, 성적증명서)를 ‘나이스 대국민서비스(www.neis.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대학에 제출하는 것으로, ○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개별대학에 직접 자료를 제출해야 했던 수험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15학년도 대입전형부터 시행되었다. ※ 온라인 제공 신청 건수 : (‘15학년도) 4,313건 → (’17학년도) 8,743건 □ 2018학년도 검정고시 대입전형자료 온라인 제공 신청방법 및 기간은 다음과 같다. o (신청방법) 나이스 대국민서비스(www.neis.go.kr)에 접속하여 고졸 검정고시 합격정보가 있는 해당 시·도교육청을 클
치과대학 및 한의과대학의 정원 외 입학비율 조정 담당부서 교육부 대학정책과 담당과장 김현주(044-203-6917)담당자 사무관 양수경(044-203-6921)주무관 이은실(044-203-6664)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 치과대학 및 한의과대학의 정원 외 입학비율을 의과대학의 경우와 동일하게 5%로 조정하는 「고등교육법 시행령」일부개정령안이 8월 29일(화) 제38회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었다고 밝혔다. □ 이번 개정은 보건복지부의 의료인력 수급 전망 결과에 따라, 치과의사 및 한의사의 적정 인력 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원 외 입학비율을 조정해야 한다는 보건복지부 및 국회 의견을 반영하여 추진되었다. * 치과의사 및 한의사 중?장기 인력수급추계에 따르면 수요 대비 공급 과잉 우려 ○ 현재「고등교육법 시행령」제29조 제2항 제2호(재외국민 및 외국인), 제9호(전문대 연계과정 대학 편입학자) 및 제14호(기회균형선발)의 경우, 의과대학은 모집단위별 입학정원의 5% 범위 내에서 정원 외로 선발하고 있으므로 * 가목 : 농어촌지역 및 도서.벽지 학생, 나목 : 특성화고교 졸업자 다목 : 특성화고 등을 졸업한 재직자, 라목 : 기
담당부서교육부사립대학제도과 담당과장 이재력(044-203-6912)담당자 사무관 박소하(044-203-6932)사무관 류동훈(044-203-6928)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2017년8월25일(금)학교법인 서남학원(서남대학교)에 대해,사안감사 및 특별조사 결과에 따른시정요구와 학교폐쇄 계고를 통보하였다고 밝혔다. o이번 조치는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사학비리 척결을 위해사학비리 등중대한비리를 저지른 당사자들이 사학에 참여할 수 없도록원천적으로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그 동안 교육부는1주기 구조개혁 평가결과E등급2유형 대학*에 대해 상시컨설팅을 실시하고 지속적인자구노력의 기회를 부여했음에도 불구하고,서남대는대학으로서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 상황에 직면하면서강력한 구조개혁의 대상이 되었다. *설립자 및 경영진 비리,장기적 경영악화 등으로 교육여건이 극히 부실하여 대학 정상화가 필요한5개 대학(서남대,한중대,대구외대,대구미래대,광양보건대) o서남대는‘12년 사안감사 결과*,설립자 이홍하의 교비333억 원 횡령외에 법인 이사 및 총장이 고등교육법 등 관계법령을 위반하여 학사.인사.회계 등업무 전반을 편법적이고 불법적으로 운영해 왔으며, *설립
한중대, 대구외대에 대한 폐쇄명령 등 행정예고담당부서교육부사립대학제도과 담당과장 이재력(044-203-6912)담당자 사무관 박소하(044-203-6932)사무관 류동훈(044-203-6928)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는한중대학교(이하 한중대,강원도 동해시 소재)와 대구외국어대학교(이하 대구외대,경북 경산시 소재)에 대한폐쇄 명령및 청문 절차에 앞서2017년8월25일부터20일 간 행정예고에 들어간다고밝혔다. o대구외대를 설치·운영하고 있는학교법인 경북교육재단에 대해서는 대구외대 외에 더 이상 운영하는 학교가 없어법인 해산명령도함께 행정예고할 계획이다. □이번 한중대와 대구외대에 대한 폐쇄 명령 등은지난4월부터 진행된3차례*시정명령 및 대학폐쇄 계고에도 불구하고시정요구 사항의 상당수가 이행되지 못하였고, -제3의 재정기여자 영입을 통한 정상화 방안의 실현가능성이 없어 폐쇄 등의 절차를 진행하게 되었다. * 1차(4.27.∼5.27.), 2차(5.29.∼6.18.), 3차(6.19∼7.9.) -이에 앞서,한중대와 대구외대는대학구조개혁 평가에서최하위E등급('15.8.)을 받았고,상시컨설팅 대상 대학으로 지정('16.3.)되어 정상화방안의 실현가능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