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과] 교육과정정책과 담당자 팀장 안웅환 (☎044-203-6177), 교육연구사 하세종 (☎044-203-6216) 한국과학창의재단 실장 이현숙 (☎02-559-3930), 연구원 이선영 (☎02-559-3948) ◈ 2019 수학용어 말하기 한마당(매스-톡) 예선, 누리집 응모 시작 ◈ 교육과정 속 수학용어를 쉽고 재미있게 들려줄 학생 소통가 발굴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사장 안성진)은 10월 1일(화)부터 14일(월)까지 14일간 공식 누리집(http://math-talk.kr)에서 ‘2019 수학용어 말하기 한마당(매스-톡)’ 예선 대회의 응모 접수를 시작한다. ㅇ 이 행사는 학생들이 직접 교육과정에 있는 수학 학습 내용을 이야기로 들려주는 학생 소통가를 발굴하기 위한 대회로,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데 의미가 있다. ㅇ 참가하는 학생은 딱딱한 수학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유와 적절한 예시를 사용하여 누구나 머릿속으로 수학을 상상할 수 있도록 ‘소통’에 중점을 두어 이야기한다. - 중·고교 재학생 1명 혹은 2명이 팀을 이루어, 자신이 배운 교육과정 범위*의 수학 이야기로
<자료 문의> 대학수학능력시험본부 기획분석실: ☏ 931-0518, 0252, 0250 (실장 박도영, 담당 신진아, 박인용)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9월 4일(수)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10월 1일(화)에 수험생들에게 통지하였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 2020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455,949명으로 재학생은 377,496명, 졸업생은 78,453명이었다. o 국어 영역 452,986명, 수학 가형 144,812명, 수학 나형 303,139명, 영어 영역 454,752명, 한국사 영역 455,949명, 사회탐구 영역 238,297명, 과학탐구 영역 205,614명, 직업탐구 영역 9,210명, 제2외국어/한문 영역 18,648명이었다. o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2개 과목을 선택한 수험생은 전체 응시
2019년 교육기관 정부혁신 우수사례 왕중왕은? ◈ 정부혁신 추진 2년차를 맞아 교육기관 우수사례 발굴·공유 ◈ 세종교육청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 최우수상 영예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보다 나은 정부’ 가치를 공유하는「2019년 교육기관 정부혁신* 우수사례 경진대회」를 9월 26일(목)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하였다. * 국민의 삶을 전 생애에 걸쳐 책임지는 ‘혁신적 포용국가’ 구현을 위해 국정운영 방식을 사회적 가치 중심으로 전환 ㅇ 이번 대회는 정부혁신 추진 2년차를 맞아 교육기관의 우수사례를 발굴하여 공유?확산하고자 처음으로 추진되는 행사로, 시.도교육청과 국립대학 등 26개 교육기관이 참여하였다. ㅇ 제출된 44개 우수사례 중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10개 사례가 각 기관의 개성이 묻어나는 자유로운 방식으로 소개되었다. □현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인 10개의 사례에 대해, 평가단 심사 점수 및 관객 투표점수를 합산한 결과, 세종교육청의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이 최우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ㅇ세종교육청은 관내 중.고등학교 간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이라는 플랫폼을 구축하여, 단위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교과나 다양
◈ 학종 실태조사를 위해 입시전문가로 구성된 ‘학생부종합전형조사단’ 운영 ◈ 학종 비율 및 특목고·자율고 등 선발 비율이 높은 대학 13개교 실태조사 ◈ 학종 등 입시비리 제보를 받기 위해 ‘대학입시비리신고센터’ 신설 ◈ 종합감사 미수감 16개교 중 10월 홍익대학교 종합감사 실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9월 26일(목) 입시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포함한 입시제도 전반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발표하였다. ㅇ 실태조사는 학종 비율과 특목고·자율고 등 학생 선발 비율이 높은 13개* 대학(종합감사 3개교 포함)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 실태조사 대상 13개교(종합감사 3개교 포함) : 건국대, 광운대, 경희대, 고려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춘천교대, 한국교원대, 홍익대 ㅇ 이를 통해, 학종 운영 실태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그 결과를 올해 11월 중 발표 예정인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 신속하고, 철저한 조사를 위하여 교육부, 대학 및 교육청 담당자, 외부 전문가, 시민감사관 등으로 구성된 ‘학생부종합전형 조사단’을 구성 운영
담당과 규제개혁법무담당관과장오신종 (☎044-203-6648) 사무관이보배 (☎044-203-6703)사무관지광현 (☎044-203-6159) 교육분야 규제개선으로 학교의 자율혁신을 지원 ◈ 상반기 규제 정부 입증책임제 시행으로 38건의 규제 개선 성과 ◈ 하반기 고등교육 분야 불필요한 규제에 대한 지속적 개선 추진 □ 교육부는 올해 상반기 규제 정부 입증책임제*를 운영하여, 26건의 규제개선 건의과제와 12건의 행정규칙 규제 등 총 38건의 기존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 * 규제개선 필요성을 국민과 기업이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규제존치 필요성을 정부(공무원)가 입증하는 규제정비 방식 ㅇ 대교협, 전문대교협 등 교육유관단체, 시·도교육청, 대학 등에서 224건*의 규제개선 건의과제를 받아 88건을 심의하여 26건을 개선하고, 교육부 소관의 행정규칙에 포함된 규제 60건을 심의하여 12건을 개선한다. * 조치 : (타부처 소관과제 52건) 검토의뢰, (잔여 68건) 하반기 심의 예정, (중복과제 16건) ㅇ 교육부는 올해 고등교육 분야를 규제개선 중점 분야로 설정하여, 민간위원을 과반수로 규제완화위원회를 구성하고 당연직으로 교육부 차관과 기획조정실장이 추
담당과 학교혁신정책과과장이성희 (☎044-203-6506) 사무관 이가원 (☎044-203-6441) 주무관맹주민 (☎044-203-6316) 2019년 교육부 주관 시·도교육청 평가결과 발표 ◈ 시·도교육청에 대해 공교육 혁신 강화 등 4개 영역 평가 실시 ◈ 우수사례 확산을 위한 교육청간 교류 기회 제공 및 컨설팅 등 지원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9월 23일(월) 전국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9년 시·도교육청 평가 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시·도교육청 평가는 1996년부터 교육정책에 대한 책무성을 확보하고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시행해 왔으며, 지방교육자치 강화 흐름에 맞게 2018년부터 국정과제·국가시책 중심의 교육부 주관평가와 자치사무 중심의 교육청 자체평가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다. ㅇ 올해 교육부는 전년도(’18년) 시·도교육청 실적에 대해 ①공교육 혁신 강화, ②교육의 희망사다리 복원, ③안전한 학교 구현, ④교육수요자 만족도 제고 등 4개 평가영역으로 평가하였다. ※ 지역특성에 따른 교육여건 차이를 고려해 시(市)지역과 도(道)지역으로 나누어 평가 ㅇ 또한,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외부 전문가와 교육
제64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 개최 □ 대한민국학술원(회장 김동기)은 2019년 9월 17일(화) 오후 2시, 대한민국학술원 대회의실에서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학술원 회원 및 수상자와 가족 등이 참석한 가운데「제64회 대한민국학술원상 시상식」을 거행한다. □ 대한민국학술원상은 대한민국학술원이 국내 학술연구 진흥을 위해 세계적 수준의 우수하고 독창적인 연구업적을 이룬 학자에게 매년 수여하는 상으로, ○ 1955년부터 현재까지 총 257명의 수상자를 배출했으며, 우리 학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권위 있고 영예로운 상이다. □ 올해 수상자는 사회과학부문 2명, 자연과학기초부문 2명, 자연과학응용부문 1명으로 모두 5명이며,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사회과학부문 수상자인 김영환 한양대 명예교수는 법학자로서 대표 저서인 「독일과 한국에서의 법철학과 형법」에서 한국의 법학이 독일의 법학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를 분석.검토하고 한국의 법학과 법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 이종은 국민대 명예교수는 서양정치사상 분야의 석학으로, 「정의에 대하여」, 「사회정의란 무엇인가」등과 같은 저술 활동을 통해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발전에 필요한 사회정의론을
담당과 교육일자리총괄과 담당자과 장천범산(☎044-203-6883) 사무관김홍오(☎044-203-6313)주무관장명헌(☎044-203-6402) 한국장학재단팀 장이 건(☎053-238-2451) 대 리전형록(☎053-238-2453) 희망사다리 장학금, 혜택의 폭이 넓어집니다 ◈ 2019년 2학기 희망사다리 장학금, 이달 17일(화)부터 27일(금)까지 접수 ◈ 중소기업 취업.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이면 등록금과 준비금 200만원 지원 ◈ 고교 졸업 후 2년 이상 직장에 근무했다면 대학 등록금 지원 □ 2019학년도 2학기 희망사다리 장학금 신청을 9월 17일(화)부터 27일(금)까지 한국장학재단 누리집(www.kosaf.go.kr)에서 접수한다. o 희망사다리 장학금 사업은 중소·중견기업에 취업 또는 창업을 희망하는 대학생(Ⅰ유형)과 고등학교 졸업 후 기업 재직 중에 진학한 대학생(Ⅱ유형)에게 장학금을 지원한다. <신청> 기간 : 9.17(화)~9.27(금)문의 : 1599-2000, 1599-2290 접수 : 한국장학재단 누리집(www.kosaf.go.kr) ※ 세부사항은 누리집에 게재되는 안내문, 업무처리기준을 통해 확인 □ 2019학년도
담당과 교육통계과과장하유경 (☎ 044-203-6325) 사무관신태연 (☎ 044-203-6320) 한국교육개발원교육지표연구실실장박성호 (☎ 043-530-9546) 한효정 (☎ 043-530-9334) 「OECD 교육지표 2019」결과 발표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 반상진)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2019년 9월 10일 11:00(프랑스 기준)에 공개하는 ?OECD 교육지표 2019?의 주요 지표를 분석?발표했다. o ?OECD 교육지표?는 회원국들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교육의 사회적 성과를 제고하는데 필요한 국제 비교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교육정책 수립 및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OECD 교육지표 개요 (조사 근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관한 협약(’96.12.18., 조약 제1358호) (조사 대상) 46개국(OECD 회원국 37개국, 비회원국 9개국) (조사 내용) 학생, 교원, 재정, 교육 참여 및 성과 등 교육 전반에 관한 사항 (조사 기준연도) 학생·교원(’17년~’18년), 재정(’16년), 등록금(’18년), 교육 참여·성과(’17년~’18년) (참여 기관) 한국교육개발원,
담당과 대학학사제도과담당자과장구영실 (☎ 044-203-6249) 사무관김경주 (☎ 044-203-6255) 2020학년도 신설 전문대학원 선정 결과 발표 ◈ 2020년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 신설 ◈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실무 중심 융합형 인재 양성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유은혜)는 2020학년도 전문대학원 신설 최종 심사 결과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과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이 선정되었다고 9월 10일(화)에 발표하였다. o 교육부는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하여 매년 전문대학원 신설을 추진해오고 있으며, 올해도 대학으로부터 신설 계획을 접수하고 위원회 심사와 실사 등을 거쳐 선정하였다. 전문대학원이란? ‘전문대학원’은 전문 직업 분야의 인력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된 교육 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이다. ‘일반대학원’이 학문의 기초이론과 학술 연구를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반면 ‘전문대학원’은 연구된 이론을 활용하는 실천적 전문가를 육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o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은 여러 학문의 기초로 떠오르고 있는 데이터과학* 분야의 석?박사 교육과정을 개설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