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원에 신선함을 더하기 위해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이것저것 추가하다 보니 학원 프로그램 구성이 산만해지는 느낌? 학원의 전문성이 퇴색되는 느낌? 잘 되는 식당은 단일 메뉴로도 잘되지 않나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진로진학사관학교 기본과정] 진로진학 컨설팅의 중요성을 알고 있지만 입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학원 현장에서 학생과 학부모님들을 상담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에 기본적인 입시용어부터 대학입시의 기초가 되는 모든 것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는 대학입시 왕초보 탈출로 시작해 진로진학 전문가로 가는 과정으로 진로진학사관학교를 준비했습니다. 진로진학사관학교는 입문과정 -> 기본과정 -> 심화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입문과정은 입시용어부터 시작하는 대학입시 왕초보 탈출과정입니다. 2) 기본과정은 진로진학 컨설팅 첫 걸음으로 대학입시의 기본기를 다지며 학원적용 방법까지 배우는 과정입니다. 3) 심화과정은 학생부 분석, 평가, 지도 방법을 배우며 진로진학 컨설팅 전문가로 역량을 키워나가는 과정입니다. 이번 기본과정은 강의 및 Q&A -> 실습 -> TEST 3단계로 진행되는 방식으로 교육 내용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과정을 설계했습니다. 기초가 부족하신 분들을 위해 입문과정 1~3강을 녹화영상으로 제공하며, 교육 후에도 원장님들께서 진로진학에 완전한 자신감을 가질 때까지 계속해서 소통하며 도움이
이미지 복붙식의 게시글들이 검색 키워드를 장악한 상황 '000 영어'라 검색했더니 저희 학원 블로그도 다른 학원 블로그도 상단 페이지에는 안 나오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원장님의 학원 운영 고민! 학관노 교수진이 함께 고민합니다 2021.7.23 학관노 실마리 라이브
최근 강사와 트러블이 있었습니다 먼저 사과하긴 했는데 아직 냉랭한 분위기네요 어떻게 관계를 회복할 수 있을까요?
이걸 이때까지 끝내려면 지금 저걸 하고 있으면 안 될 것 같은데... 얘기하면 열심히 하고 있는 사람한테 괜히 뭐라 하는 것처럼 보이려나 업무의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규모가 커지면서 강사님들의 인센티브나 성과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다른 회사의 사규를 모티브로 하면 좋을지 힘들긴 하겠지만 우리 학원에 맞는 성과 제도를 구축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모든 학부모님들은 내 아이에 맞는 맞춤형 관리를 원하고 있습니다. 아직 "학원포트폴리오"가 없다면 바로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해집니다. 이제 열심히만 가르치는 학원에서 체계적인 학습과 진학 관리로 학생은 성적 향상되고, 학부모님은 믿고 맡기고 원장님은 수익 경영 할 수 있는 교습소, 공부방,학원으로 재탄생하기 바랍니다. 이 교육은 원장님들이 꿈꾸던 학습과 진로 코칭을 현실화 시켜줄 것입니다. [강의 목차] 1부 : 좋은 교육 수익 경영 * 좋은 교육 조건 * 수익 경영 실현 구체적 방법 * 학생관리 운영법 2부 : 중등 고등 학습 포트폴리오 * 100% 등록하는 상담법 * 성적 오르는 시험관리법 * 수학 영어 진도관리법 * 몰입역량 키우는 캠프 1.2.3 3부 : 중등 고등 진학 포트폴리오 * 미래 인터뷰 * 진학 서약 * 직업 흥미 진단1.2 상담법 * 고등 등급별 대입 전략 * 목표대학 전형 * 상담 로드맵 ☞ 학생 관리용 포트폴리오 미리보기 [안내사항] * 일정 : 7.21(금) 오전 9:30~12:00 * 무료 온라인 진행 * 입장법은 교육 전 1~2회
온라인 마케팅 다른 기업들은 마케팅 팀이 하고 사장이 직접하지 않는데 학원은 원장이 꼭 해야 되나요?
입시 실적도 괜찮고 지역에서 이름도 좀 알려진 나름 잘 운영하고 있는 학원 슬슬 확장해야 할까? 아니면 유지해야 할까?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6월 1일(목) 전국적으로 실시된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6월 28일(수)에 수험생에게 통지한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접수한 곳(재학 중인 학교, 시험 지구 교육청, 출신 학교 등)을 통하여 수험생에게 교부하였다. 아울러 수험생 진학 지도를 위해 「영역/과목별 등급 구분 표준점수 및 도수분포」자료도 공개하였다.
2학기부터 늘봄 시범운영 학교 늘어난다 2학기 시범교육청 3개(부산, 충북, 충남) 선정, 100개교 내외 시범운영 방과후 프로그램 1+1 도입, 초1 에듀케어 확대, 지역대학 참여 초등돌봄 전체 대기인원 1.5만 명→4,400명, 당초 인원의 71% 해소 교육부 “더 많은 학생들이 혜택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