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결과 발표

[담당부서]
취업창업교육지원과
담당과장  송근현(044-203-6883)
담당자 사무관 전용진 (044-203-688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소장 박성호(043-530-9546)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구센터 담당 이기준(043-530-9656)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결과 발표
-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률 전년대비 0.2%p 상승한 67.7% -
 * 전문대학 취업률은 지속 상승하여 70.6%, 해외취업자, 1인 창(사)업자 등 늘어
 * 올해 처음으로 취업업체 규모, 전공별 취업현황 등 세부정보 시범 조사

□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김상곤)와 한국교육개발원(원장대행 류방란)은 12월 28일 「`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건강보험 및 국세 데이터베이스(DB) 연계 취업통계조사」결과를 발표하였다.
 ㅇ 이번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 결과는 전국 일반대학, 교육대학, 산업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기능대학 및 일반대학원의 2016년 2월(`15년 8월 포함) 졸업자를 대상으로 취업 등 졸업 후 상황을 2016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ㅇ 국민건강보험공단, 국세청, 고용노동부, 병무청,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의 공공 데이터베이스(DB)와 연계하여 고등교육기관 졸업생 580,695명 전수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 2016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중 전체 취업자는 34만9,584명으로 취업대상자 516,620명의 67.7%로 전년(67.5%, ‘15.12.31일 기준) 대비 0.2%p 상승하였다.
  ㅇ 취업 분야별 취업자 수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318,438명, 해외취업자 2,333명, 1인 창(사)업자 4,791명, 프리랜서 20,280명으로 나타났다.
  ㅇ 프리랜서는 전년 대비 0.5%p, 해외취업자 0.3%p, 1인 창(사)업자, 개인창작활동종사자는 0.1%p씩 각각 증가하였으나,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는 전년 대비 0.8%p 감소했다.

□ (학제별 취업률) 일반대학 64.3%, 전문대학 70.6%, 일반대학원 78.3% 등으로 나타났다. 
  ㅇ 전문대학, 일반대학원은 각각 1.1%p, 0.5%p 상승하였지만, 일반대학(△0.1%p), 산업대학(△1.9%p), 교육대학(△1.2%p), 기능(폴리텍)대학(△0.4%p)은 하락했다.
  ㅇ 특히, 전문대학은 2년 연속 상승하고 있으나 대학은 4년 연속 하락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 (지역별 취업률) 수도권 취업률은 68.6%, 비수도권 취업률은 67.0%로 1.6%p의 격차를 보였다. 
     ※ 수도권, 비수도권 간 격차 변화 추이 : 0.8%p(’11년)→1.4%p(’12년)→1.3%p(’13년)→0.8%p(’14년)→0.6%p(’15년)→1.6%p(’16년)
  ㅇ 17개 시도 중에서는 인천 71.1%, 울산, 충남이 각각 69.2%, 대전이 69.1%를 기록하며 높은 취업률을 보였고, 경기(1.0%p), 대전(0.9%p), 강원(0.8%p) 등 10개 지역이 전년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ㅇ 반면, 울산은 전년대비 2.6%p 하락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하였으며, 최근 4년간 취업률의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 (계열별 취업률) 의약계열(83.4%), 공학계열(71.6%)만 전체 취업률(67.7%)보다 높게 나타났고 인문계열(57.6%), 사회계열(64.7%), 교육계열(66.8%), 자연계열(64.0%) 및 예체능계열(63.6%)은 전체 취업률보다 낮게 나타났다.
  ㅇ 대부분 계열이 전년대비 상승하였으나 교육계열(△1.8%p)과 공학계열(△1.2%p)이 감소하였고, 특히 공학계열의 취업률 하락세는 최근 6년간 계속되고 있다.

□ (성별 취업률) 남성 졸업자 69.0%, 여성 졸업자 66.4%로 나타나 남녀 취업률 격차는 전년도와 같은 2.6%p로 전체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남녀 취업률 격차 변화 추이 : 6.2%p(’11년)→4.9%p(’12년)→4.8%p%(’13년)→3.8%p(’14년)→2.9%(’15년)→2.6%p(’16년)
  ㅇ 남성 졸업자 취업률은 2014년 이후 69.0%로 같았으나, 여성 졸업자 취업률은 2013년 이후 3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16년 졸업자의 12월 31일 기준 직장 취업자(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약 1년(11개월) 후 직장 취업자 자격을 유지하는 비율(유지취업률)은 76.8%로 나타났다.
  ㅇ 일반대학이 전문대학보다 7.7%p 높게 나타나고 있고,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2.0%p 높게 나타났다.
  ㅇ 계열별로는 교육계열(86.7%)의 유지취업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은 공학계열(81.3%), 의약계열(79.1%) 순이었다.

□ 또한, 지금까지는 취업자 수 위주의 단순 취업률만 조사하였으나, 올해는 취업업체 규모, 전공별 취업 현황 등 세부정보를 시범적으로 조사하였다.
  ㅇ 가장 취업자가 많은 산업분야는 제조업, 부동산·임대 및 사업 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순으로 나타났고, 가장 취업자가 많은 기업 규모로는 1,000명 이상 기업, 10~29명, 100~149명 규모의 기업에 많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계열별 산업분포를 살펴보면 인문계열, 사회계열, 예체능계열은 부동산·임대 및 사업서비스업에 각각 20.8%, 20.3%, 21.4% 집중되어 있고, 교육계열은 교육서비스업에 74.6%,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은 제조업에 각각 40.1%, 24.2%, 의약계열은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에 80.8%가 집중되어 있다.

□ 교육부는 “이번 취업통계에서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전체 취업률이 상승한 것은 긍정적이나, ‘15년에 이어 올해도 직장 취업자가 줄어든 것은 산업계 불황으로 인한 신규 채용규모가 감소한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ㅇ 또한, “프리랜서, 해외취업, 1인 창(사)업자의 증가는 대졸자들이 다양한 분야로 본인의 직업 선택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ㅇ 아울러, “앞으로 각 대학에 전공별 취업현황, 취업업체 규모 등 세부 정보를 제공하여 진로취업 상담 시 활용함으로써 취업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 이번 결과는 1월 중으로 교육부(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kess.kedi.re.kr) 누리집에 탑재하여 국민들이 손쉽게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교육뉴스

더보기
나이스·K-에듀파인 등 교육행정 시스템 장애…교육부 “데이터 유실 없어”
[본문]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 여파로 24일 오후부터 나이스와 K-에듀파인 시스템에서 인증 및 로그인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다. 나이스는 초·중·고 학생의 성적, 출결, 생활기록부 등 학교 생활 전반을 관리하는 핵심 시스템이며, K-에듀파인은 교육 재정과 행정 업무를 담당한다. 교육부는 “현재 필수적인 업무 시스템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데이터 유실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다만 교육민원24를 통한 제증명 발급 등 일부 온라인 서비스는 제한이 있어 학부모와 학생이 직접 학교나 교육청을 방문해 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생활기록부나 성적 증명은 입시 준비 과정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기 때문에, 중·고등학생 학부모들은 갑작스러운 서비스 중단에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교육부는 “시스템 복구가 완료되는 대로 정상 발급이 가능하다”며 이용자들의 양해를 구했다. [학부모에게 중요한 이유]이번 장애는 단순한 행정 문제를 넘어, 학생 생활기록부와 성적 등 입시 관련 핵심 자료 접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원서 접수, 증명서 제출 시기가 겹치는 경우 학부모가 불편을 크게 겪을 수 있어 대체 발


AI 네이버 마스터 5기 (AI 검색시대 대비, 새로운 네이버 마케팅 전략)

AI 네이버 마스터 5기 (AI 검색시대 대비, 새로운 네이버 마케팅 전략) 네이버 마스터 강의일정 1️⃣네이버 마스터 Zoom Live 5강 (업그레이드 버젼) 1강 9.22(월) 오전 9:30~11:30 2강 9.23(화) 오전 9:30~11:30 3강 9.24(수) 오전 9:30~11:30 4강 9.25(목) 오전 9:30~11:30 5강 9.26(금) 오전 9:30~11:30 ​ 실시간 강의 못보셨다구요? 걱정마세요. 언제어디서든 들을수 있도록 ​ ✅ 강의 종료후 24시간 이내 영상+자료 업로드 완료 ✅ 강의 다시보기 3개월: 9.22(화)~ 11.23(일) (3개월) ​ 질문이요? 카톡으로 바로바로 하세요! ✅수강기간, 1:1 카톡 질의응답 진행 Zoom Live 강의 + 다시보기 제공 + 카톡으로 Q&A ​ 이정도면 공부하셔야 합니다. 무조건 배우시도록 강제로 끌어드립니다. [교육 특전] - 강의자료 PDF제공 - 강의 후, 원장님들의 이해여부에 따라 추가 강연 녹화됨. - 1:1 질문: 교육기간 중 강의 관련된 모든 질의/응답 가능 ▶ 교육비 : 44만원 ⏩️ 35만원 - AI 네이버 마스터 개편 특가 - 다음 기수부터 다시 44만원으로

고려대 KUT 전국수학학력평가 설명회 - 김성태대표님(학관노대표강사)

고려대 KUT 전국수학학력평가 설명회 - 김성태대표님(학관노대표강사) "수업만 잘하면 뭐 합니까?" '증명하지 못하면 실력 없는 학원'일 뿐입니다. 우리 학원의 가치를 입증하고 매출을 2배로 올리는 비법, 최초 공개! ▪ 주제 : 고려대 KUT 전국 수학학력평가 설명회 ▪ 제목 : "수업만 잘하면 뭐 합니까?" 증명하지 못하면실력 없는 학원'일 뿐입니다. ▪ 강사 : 김성태대표님 (학관노대표강사) ▪진행 : 온라인 / 줌 ▪ 일정 : 9.24(수) 오전 10:10~11:30 ▪ 신청하기: https://bit.ly/4pAo6l6 ▪ 일정 : 9.24(수) 밤 10:10~11:30 ▪ 신청하기: https://bit.ly/4pwPeBo ▪ 주제 : 고려대 KUT 전국 수학학력평가 설명회 ▪ 제목 : "수업만 잘하면 뭐 합니까?" 증명하지 못하면실력 없는 학원'일 뿐입니다. ▪ 강사 : 김성태대표님(학관노대표강사) ▪ 일정 : 9.24(수) 오전/밤 10:10~11:30 [설명회 신청하기] * 신청시 전화번호 정확히 입력해주세요! ▪ 일정 : 9.24(수) 오전 10:10~11:30 ▪ 신청하기: https://bit.ly/4pAo6l6 ▪ 일정 : 9.24(수